본문 바로가기
맞춤법의 세계

되와 돼 차이 쉽게 배우기 | 맞춤법 공부

by blogger2428 2025. 3. 31.

 

초등학생도 쉽게 배우는 ‘되’와 ‘돼’ 맞춤법

우리말 맞춤법 중 많은 사람이 헷갈려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‘되’와 ‘돼’입니다. 구분법은 간단하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맞춤법입니다. 되와 돼는 특히 구어에서 많이 쓰는 말이기 때문에 더 그런 것 같습니다. 이 글에서는 표, 예문, 퀴즈를 통해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. 이제 더 이상 검색해 보는 일이 없도록 오늘 완벽히 종지부를 찍고 갈게요. 

1. 되와 돼, 왜 헷갈릴까?

‘되’와 ‘돼’는 둘 다 ‘되다’라는 같은 단어에서 나왔어요. 하지만 모양이 다르고, 쓰임도 조금 달라서 자주 헷갈릴 수 있어요.

2. 간단한 비교표

구분
기본 뜻 무언가가 이루어지다, 가능하다 ‘되다’가 줄어든 말 (되어 → 돼)
문법 동사 원형 그대로 ‘되어’의 준말 (줄임말)
예시 이게 될까? / 일이 잘 되어야 해. 이거 정말 돼? / 안 돼!

3. 예문으로 알아보기

이 문장은 맞을까?
❌ 이거 안 !
✅ 이거 안 !
→ ‘되어’가 줄어든 말이니까 ‘돼’가 맞아요.
이건 어떤가요?
✅ 이게 정말 는 걸까?
→ ‘되다’의 원래 형태니까 ‘되’가 맞아요.
헷갈릴 때 꿀팁!
문장 속 ‘돼’를 ‘되어’로 바꿔서 말이 되면 ‘돼’가 맞아요!
예: "안 돼!" → "안 되어!" (말이 돼요!) → 그래서 ‘돼’가 맞아요.

4. 퀴즈로 복습해요!

Q1. 이거 정말 (되 / 돼)?

정답: 돼 → '되어'로 바꿔서도 말이 되니까요!

Q2. 오늘은 비가 와서 소풍이 안 (되 / 돼).

정답: 돼 → '되어'로 바꿔보면 OK!

Q3. 잘 (되 / 돼)야 할 텐데...

정답: 되 → '되다'가 기본형으로 쓰인 경우입니다.

Q4. 이렇게 하면 안 (되 / 돼)!

정답: 돼 → '되어'로 바꿔도 말이 돼요!

5. 되와 돼를 구분하는 공식

  • ‘되어’로 바꿔서 말이 되면‘돼’가 맞다.
  • ‘되다’의 기본형이 필요한 경우‘되’가 맞다.
  • 항상 헷갈릴 때는 ‘되어’인지, ‘되다’인지 생각해 보세요!

6. 결론! 이제 헷갈리지 않아요!

되와 돼의 차이는 아주 작지만, 문장을 올바르게 쓰기 위해 꼭 알아야 해요. 특히 ‘돼’는 줄임말이라서 말투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아요. 말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는지 생각하면 쉽게 맞출 수 있답니다.

앞으로는 "이게 ? 안 !" 하는 말도 자신 있게 쓸 수 있겠죠?

© 2025 맞춤법 도우미 | 되와 돼 쉽게 배우기 콘텐츠

 

 

국어 맞춤법: '이'와 '히'의 차이